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46

[건강] 간과 위장 보호에 도움을 주는 음식 '칡' 칡이란? 칡은 갈근이라고도 부르는데, 그의 성분의 대부분은 전분이다. 옛날에는 칡의 어린잎을 사용하여 왔는데, 지금은 대부분 뿌리를 이용하고 있다. 일부 지방에서는 갈분을 만들어 떡을 해 먹기도 한다. 옛말에 갈근(칡)의 효능은 네 가지로 지갈(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이 하나요, 술독을 푸는 것이 둘이요, 표사(병이 입이나 코, 땀구멍으로 침입하여, 발열, 오한(惡寒) 또는 오풍(惡風), 두통, 해수 등의 증상)를 흩어 버리는 것이 셋이요, 창(상처)을 아물게 하는 것이 그 넷이라 하였다. 또 갈분을 탕에 풀어서 먹으면 몸을 덮게 하여 초기 감기에 잘 듣는다. 특히 여름 몸살이나 감기로 고생하는 경우 쌍화탕에 갈근차를 함께 섭취하고 땀을 푹 내는 게 최고의 방법이다. 찌뿌드드하고 무거웠던 몸이 감쪽같이 .. 2021. 12. 24.
[건강] 눈에 좋은 음식 '블루베리' 블루베리? 요즘은 TV 시청이나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 등으로 시력을 사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다 각종 화학 약과 화학 물질이 생활 속에 만연되어 있고, 화학 첨가제로 가공된 식품이 범람하고 있다. 따라서 간에 회학 독소가 쌓인 나머지 눈이 상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일을 반영이라도 하듯 안경을 쓰고 있는 초등학생 이전의 어린아이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안타깝기 한이 없는 일이다. 이제 우리 생활의 모든 것은 자연적인 것으로 바꿀 수는 없지만, 몸을 살리는 일만큼은 인공 화학적인 방법 대신 자연을 이용하는 지혜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시력 약화의 경우만 보더라도 자연에 눈을 돌려보면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있다. 그 중 블루베리는 눈을 좋게 하는 데 있어 신.. 2021. 12. 23.
[건강] 정력에 도움을 주는 음식 두번째 정력에는 활동의 정력이 있고, 성적인 정력이 있다. 이 활동의 정력과 성적인 정력은 비례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TV에 등장하는 체격이 엄청난 씨름선수나 레슬링 선수가 성적인 정력이 무지막지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오히려 외관상 호리호리하고, 광대뼈가 튀어나오고, 힘이 없을 것 같은 남성들이 정력이 강한 경우도 많다. 이 처럼 성적 능력은 어느 정도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경우도 있고, 성적인 능력이 부실하게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중대한 문제가 있지 않는 한 후천적으로 얼마든지 개선 보충할 수 있다. 남성에게 있어서 근본 성기능의 문제는 심장, 비장, 폐 및 정신작용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오늘날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발기부진 치료제의 대명사인 비아그.. 2021. 12. 22.
[건강] 정력에 도움을 주는 음식 첫번째 정력이란? 정력을 말할 때 보통 남성의 성적인 기능만을 강조하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것이다. 정력이란 본래 성적인 기능을 넘어서 생명의 원기력을 뜻한다. 정이라는 것은 우리 인체를 구성하는 3요소인 정기신 중의 하나이다. 인체의 모든 기능은 정기신의 조화로 이루어지는데, 정은 기를 생성하고 기는 신을 생성한다. 따라서 정이 튼실하면 기는 굳세어지고, 기가 굳세어지면 신이 왕성하게 되고, 신이 왕성하게 되면 몸이 건강하고 병이 들지 않게 된다. 또한 안으로는 오장이 튼튼해지고, 밖으로는 피부가 윤택해지고, 얼굴에서 빛이 나게 된다. 정은 인체의 생성에서 가장 먼저 생기는 것으로 우리 몸의 근본이다. 또한 오장에 모두 존재하면서 오장 기능의 쇠퇴를 조절한다. 따라서 정이라는 것은 인체를 책임지는 가장 귀중한.. 2021. 12. 21.
골다공증에 도움을 주는 음식 무청시래기밥 재료: 무청시래기 200g, 현미찹쌀 1컵, 현미 맵쌀 3컵, 다시마물 4컵, 들기름 3숟가락, 소금 1/2숟가락, 진간장 3큰술, 홍고추 1개, 청고추 1개, 통깨 1작은술, 고춧가루 1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만드는 법: 마른 시래기를 하루 전날 충분히 불린 다음 물을 넉넉히 부어 너무 무르지 않도록 삶는다. 그리고 이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 다음 질긴 껍질을 벗겨 잘게 썰어 놓는다. 현미는 하루 전날 불려 놓는다. 솥에 쌀과 시래기를 넣고 소금과 들기름을 섞어 가며 볶는다. 그런 다음 다시마물을 부어 밥을 짓는데 충분히 뜸을 들여야 한다. 뜸을 충분히 들인 밥에 양념장을 넣어 비벼 먹는다. 양념장은 고추를 잘게 다진 다음 진간장, 들기름, 고춧가루, 후춧가루, 통깨를 넣어 만든다. 효능.. 2021. 1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