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음식329

화살나무(참빗살나무, 홑잎나물) 효능 7가지와 부작용 목차 화살나무 (참빗살나무) 화살나무는 예로부터 귀신을 쫓는 나무라고 하여 '귀전 우' 혹은 '신전목'이라고 불리었으며, 또 다른 이름으로는 위모, 참빗 나무 등이 있습니다. 화살나무는 나뭇가지의 화살 깃털을 닮은 회갈색 코르코 날개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화살나무는 보통 코르코(날개)와 뿌리껍질, 새순에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살나무의 새순을 보통 홑잎나물(홋잎 나물)이라고 부르며, 홑잎나물은 나물로 무쳐서 먹거나 밥을 할 때 넣어서 먹기도 하고, 그늘에 말려 차로 달여 먹기도 합니다. 이밖에도 한방에서는 가지의 날개를 햇볕에 잘 말려 약재로 쓰며 어린 줄기는 물에 달여 차로 마신다고 합니다. 동의보감에서 화살나무는 성질은 차며 맛은 쓰고 독은 없으며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배 아픈.. 2022. 5. 3.
하수오 효능 8가지 및 부작용과 복용 시 주의 사항 목차 하수오 하수오의 원산지는 중국이며, 우리나라 전국 각지 산야에서 자생한다고 합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하수오의 원래 이름은 야교등(夜交藤)인데 하수오(何首烏)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먹고 큰 효과를 본 데서 하수오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사람은 본래 몸이 약하였고 늙어서는 아내도 자식들도 없었다고 합니다. 하루는 술에 취해서 밭에 누워 있었는데 한 덩굴에 2줄기가 따로 난 풀의 잎과 줄기가 서너 번 서로 감겼다 풀렸다 하는 것이 보였고, 그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 짓찧은 다음 가루 내어 술에 타서 복용하였더니 7일 복용하니 그리운 사람이 있었고, 100일이 지나서는 오랜 병들이 다 나았고, 10년 후에는 여러 명의 아들을 가졌고, 103세까지 살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이.. 2022. 5. 3.
참외 효능 10가지 및 부작용 참외 고르는 법 목차  참외참외는 참 오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참외의 칼로리는 100g 당 35 kal 정도로 낮으며, 흡수가 빠른 포도당 및 과당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한 여름 더위에 지친 몸의 피로와 갈증 해소에 좋은 과일입니다. 참외는 유명한 알칼리성 과일로 수분이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단백질, 지질, 당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참외에는 칼슘, 인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참외의 효능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외 효능     [참외 효능 01] 심장 질환 예방 및 항암 효과참외는 알려진 바와 다르게 영양가 가득한 과일입니다. 천연 항산화제로 많이 알려진 베타카로틴 성분이 참외에는 다른 과채류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게 .. 2022. 5. 3.
천연 항생제 '모링가' 12가지 효능 및 부작용, 모링가 복용량 목차 모링가 모링가는 십자 화목 모링가 과에 속하는 나무로 인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전역, 아프리카 등에서 자생하는 식물입니다. 생명의 나무라는 뜻을 가진 모링가는 이름처럼 뛰어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각종 질병을 치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모링가는 뛰어난 약용 성분뿐만 아니라 알싸하고 매콤한 맛으로 인도나 필리핀 등에서는 모링가의 꼬투리나 씨앗으로 갖가지 요리와 소스, 향신료 등으로도 두루 이용된다고 합니다. 모링가 효능 [모링가 효능 01] 고혈압 예방 모링가의 고함량의 칼륨 성분은 혈액의 압력은 줄여 고혈압은 예방합니다. 또한 마그네슘과 아연, 비타민 E 성분이 혈압을 낮추고 혈관은 부드럽게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모링가 효능 02] 면역력 강화 모링가에는 비타민 C .. 2022. 5. 2.
칡 7가지 효능 및 부작용, 숙취 해소와 갈증 해소 효과도 탁월한 '칡' 목차 칡 (갈근) 칡은 뿌리가 길게 뻗어서 자라나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콩과에 속하며 원산지는 아시아입니다. 칡의 뿌리는 다육질이며, 칡뿌리에서 나오는 즙은 전분 함량이 높아 현재까지도 '갈근'이라는 한약재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옛날 먹을 것이 없던 보릿고개 시절에는 배를 채우기 위해 이용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건강을 위해 많은 분들이 찾을 만큼 예부터 우리나라에서 즐겨먹으며 찾고 있는 식품입니다. 칡의 첫맛은 강한 쓴맛을 느끼게 되지만 씹다 보면 단맛을 느끼게 됩니다. 요즘은 건강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칡즙 또는 칡차로 즐겨 드십니다. 오늘은 이러한 칡의 효능과 부작용, 먹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칡 효능 [칡 효능 01]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칡에 함유된 카 네킨 성분은 체내에서 해독.. 2022. 5. 2.
까마중 효능 8 가지와 부작용 및 먹는 법 목차 까마중 까마중은 키가 20~90cm 정도로 자라며 꽃은 흰색이고, 지름이 6~7mm 정도로 3~8송이씩 달립니다. 6~8월에 잎과 잎 사이의 줄기에서 꽃대가 나와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콩알만 하며 가을에 검은색으로 익습니다. 까마중 이름의 유래를 보면 검게 익은 열매가 스님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까마중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예전에 까마중은 지천에 널려있던 흔한 풀이였지만 그 성분이 알려지면서 이제는 구하는 것도 그리 쉽지 않다고 합니다. 까마중을 볼 때 우리 몸을 치료할 수 있는 모든 약재가 자연 속에 있음을 알게 해주는 또 하나의 야생초가 아닌가 생각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산야에 산재해 있는 많은 풀과 뿌리들이 약이 되는 것 같습니다. 까마중 효능 [까마중 효능 01] 노화방지 까마.. 2022. 4. 30.
고혈압 치료는 돕는 환삼덩굴 5가지 효능, 부작용, 먹는 법 목차 환삼덩굴 환삼덩굴은 시골에서는 농사를 방해하는 잡초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여러 가지 놀라운 효능이 밝혀지면서 최근에는 산야초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환삼덩굴은 뽕나무 과의 1년 초 한해살이풀로 산기슭이나 길가, 빈터 등에서 자생을 합니다. 어디서든 잘 자라는 식물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범삼 덩굴, 율초, 한삼덩굴, 한삼, 깔깔이 풀'이라고도 불립니다. 환삼덩굴의 줄기를 보면 갈고리 모양의 잔가시를 이용해 다른 물체를 감아서 자랍니다. 그리고 환삼덩굴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유는 쇠붙이를 쓸 거나 깎는 줄칼처럼 쓰는 연장을 '환'이라고 부르는데 환삼덩굴의 따가운 잔가시가 그 환을 닮았으며, 잎은 '삼'처럼 생겼다고 하여 환삼덩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또한 환삼덩굴의 생약명은 '율초'이.. 2022. 4. 30.
눈개승마(삼나물) 6가지 효능 및 부작용 목차 눈개승마 눈개승마는 장미과 쌍떡잎 식물에 여러해살이풀로 높은 산악지대에 자생하는 풀입니다. 눈개승마는 눈산승마, 삐뚝바리라고도 부르며 울릉도 지역에서는 삼나물로 부릅니다. 눈개승마 열매는 7~8월에 익는데 열매는 주로 관상용으로 사용되며 이른 봄 어린 순을 채취해 데쳐서 말린 다음 묵나물로 만들어 많이 먹습니다. 눈개승마는 지역에 따라 노란색 꽃과 흰색 꽃을 피우며, 맛은 두릅, 인삼, 소고기 등 세 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삼나물'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처럼 눈개승마는 풍미가 좋으며 인삼의 효능에 버금갈 정도로 약효도 뛰어납니다. 눈개승마는 성질은 약간 차가운 편이고 맛은 조금 쓰며서 달고, 단백질, 사포닌, 섬유소,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U, 베타카로틴, 나이아신 등의 성분들을.. 2022. 4. 29.
산모에게도 좋고 천연 비아그라로 불린다는 박주가리의 7가지 효능과 부작용 목차 박주가리 박주가리는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산과 들의 양지바르고 건조한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박주가리는 새박덩굴라고 불리며 '박 조가 리폴, 노아 등, 비래학, 뢰과, 학 광표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박주가리는 다른 식물이나 물체를 감고 올라가는 특징이 있으며 줄기나 잎을 자르면 흰즙이 나옵니다. 박주가리라고 불린 이유는 다 익은 박주가리 열매의 꼬투리가 조그마한 바가지와 같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옛날 배고픈 시절에는 박주가리의 덜 익은 열매를 먹고 어린아이들은 허기를 채웠다고도 합니다. 박주가리는 전초를 사용하며 생약명은 '나마자'이고, 씨를 '라마자', 열매껍질은 '천장각'이라고 하며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박주가리는 7~8월에 연한 보라색이나 분홍.. 2022. 4. 29.
피부 미용과 관절염에 좋다는 '쇠비름' 7가지 효능 및 부작용 목차 쇠비름(마치현) 쇠비름은 우리나라 전국의 낮은 산과 들에서 자라는 1년생 초본으로 어디서든 쉽게 볼 수가 있는 식물입니다. 쇠비름을 오랫동안 먹으면 장수하고 늙어도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는다고 하여 '장명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또한 잎은 녹색이며, 줄기는 붉은색, 꽃은 노란색, 뿌리는 흰색, 씨앗은 검은색이라고 하여 다섯 가지 색을 갖췄다 하여 '오행초'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봄부터 여름까지 나는 쇠비름 새순을 나물로 무쳐서 먹기도 하며 또 쇠비름 발효액(효소) 등을 담가 먹기도 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독성이 없고 맛이 시며, 성질이 차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갈증을 먹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쇠비름의 효능에 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 4. 28.
반응형